리눅스2020. 1. 14. 09:30

본딩이란? : 여러 개의 물리적인 NIC를 논리적으로 묶어서 NIC의 개수 만큼 대역폭을 확장하는 기술

본딩의 장점 : 첫번째, 네트워크 대역폭을 늘릴 수 있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두번째, 하나의 NIC가 고장나도 다른 하나의 NIC가 기능을 이어받아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.

 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

서버명 : RX2540 M4 Fujitsu

버전 : CentOS 7.6.1810

실습환경 : Xshell을 통한 ssh

커널버전 : Linux cnt 3.10.0-957.el7.x86_64

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`

 

1. 현재 서버에서 RUNNING 중 인 NIC가 무엇인지 아래와 같이 확인한다.

(eno2에 <UP, BROADCAST, RUNNING, MULTICAST>에서 확인)

2. eno1 활성화를 위해 서버와 스위치를 랜케이블로 연결시킨 후 확인한다.

(eno1에 RUNNING 추가되었음을 확인)

3. 네트워크 환경설정을 위해 사진의 경로로 이동.

4. ifcfg-eno2 파일을 vi 편집기로 열어 설정내용을 확인.

5. ifcfg-eno1 파일을 eno2파일의 내용을 참조하여 네트워크 설정입력.

6. nmtui모드로 진입.

7. 연결 편집 선택

8. <추가>에서 본딩 선택 후 생성.

9. 프로파일 이름과 장치 이름을 다음과 같이 지정 후 슬레이브에서 이더넷 선택 후 생성.

10. 아래 사진과 같이 slave 2개를 생성해준다. 

     프로파일 이름과 장치명을 본인 환경에 맞게 수정하여 기입한다.

11. 모드에서 활성백업을 선택한다.

12. 주 NIC를 지정해준다. 

13. 본딩된 네트워크에 사용할 IP주소와 게이트웨이 DNS서버를 입력 후 OK.

14. 설정을 마치고 나오게 되면 본딩이 추가된 것을 볼 수 있고 Back을 눌러서 나가주자.

15. nmtui 모드에서 설정할 것은 끝났으므로 종료를 눌러 나가주자.

16. 네트워크 설정을 수정했으므로 적용을 위해서 네트워크를 재시작 해준다.

17. 본딩 적용이 잘 되었는지 체크한다. 

bond0에 <MASTER>와 부여해준 IP가 제대로 설정되었고, eno1과 eno2에 <SLAVE> 설정도 잘 되어 있다.

18. nmcli 명령으로도 설정의 확인이 가능하다. 

Posted by JinPark